
성범죄의 경우 재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범죄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해당 사건 외에도 공공장소에서 스타킹을 신은 여성들을 노리고 먹물을 뿌린 20대 남성이 1심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A씨는 동종 범죄로 실형을 선고 받고 출소한지 3년만에 다시 범행을 저질렀다. 서울 동부지법 형사9단독(전경세 판사) 재판부는 “동종 범행으로 인한 누범기간에 자숙하지 않고 저지른 점, 성범죄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어 재범 위험성도 상당하다.”고 이유를 들었다.
이처럼 성범죄 재범의 경우 구형에 있어 매우 불리한 입장에 있기에 재판 과정은 물론 수사 단계에서부터 철저한 준비가 필수적이다. 또한 소방관, 경찰관, 각종 시/도/구청 직원 등 공무원의 경우 성범죄 혐의 적용만으로도 직위가 해제될 수 있는 만큼 수사 과정에서 빠르게 마무리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업무상 위력 등으로 인한 간음, 추행죄로 3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 받은 경우에만 당연퇴직이나 2년 결격 사유로 규정했던 과거와 달리 모든 유형의 성범죄에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 받고 확정 된다면 공무원 결격사유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교사의 경우 성범죄 재발률이 60%에 이른다는 발표가 있는 만큼 재판에서도 매우 불리한 위치에 있으며 혐의가 인정 된다면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된다. 만약에 형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게 됐다면 공무원 징계를 대비한 행정심판을 준비해야 하는 만큼 두 분야에 전문 지식을 갖고 있는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법무법인 동주의 이세환 형사전문변호사는 “성범죄 재범의 경우 법원에서 실형은 물론 가중처벌 할 확률이 매우 높은 만큼 감형 사유와 유리한 증거를 수집하는 것이 우선적이다.”고 말했다. 더하여 “오해가 있었거나 추행이 강간, 준강간 등으로 과장된 부분이 있다면 수사 초기 단계부터 형사전문변호사와 함께 철저한 검증을 통해 법리적으로 다투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