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2024.06.21(금)

카카오, 세계 환경의 날 맞아 다양한 캠페인 전개…“탄소 저감 활동 촉진”

승인 2024-06-05 11:25:54

카카오와 카카오 계열사는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다양한 캠페인과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사진은 카카오가 공개한 이용자 환경 기여 지표 카카오 카본인덱스. (사진 = 카카오 제공)
카카오와 카카오 계열사는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다양한 캠페인과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사진은 카카오가 공개한 이용자 환경 기여 지표 카카오 카본인덱스. (사진 = 카카오 제공)
[비욘드포스트 한나라 기자] 카카오와 카카오 계열사는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다양한 캠페인과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카카오는 이용자들이 2023년 한 해 동안 카카오 내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환경에 기여한 부분을 ‘카카오 카본인덱스’ 및 ‘사회적 탄소 감축량’으로 산정해 발표했다.

카카오는 환경 문제 해결에 동참하고자 지난 2022년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를 선언, 지난해부터 이용자가 카카오 서비스를 통해 환경에 기여한 활동을 계량화한 카본인덱스 수치를 발표해 오고 있다.

2023년 카본인덱스는 5400만 KUC로 집계됐다.

카본인덱스에는 △카카오페이와 카카오톡 지갑을 통한 전자문서 전환 1억 2000만 건 △카카오맵 자전거, 카카오T 바이크 총 이동거리 3700만Km △카카오T 전기택시, 전기차 총 이동거리 4억 5000만Km △버려지는 것에서 새로운 쓸모를 찾은 제품 440만 개 △카카오톡 선물하기와 카카오메이커스 그린 라벨 구매 290만 건 △플라스틱 학생증 대신 휴대폰 속 톡 학생증 사용 등 이용자들이 카카오 서비스를 통해 기여한 활동을 반영했다.

카카오는 올해 서울대 기후테크센터와 함께 이용자가 기업의 서비스나 기능, 정보 등을 이용할 경우 줄일 수 있는 탄소 감축량 산정을 위한 원칙과 방법론의 연구를 진행, 신뢰할 수 있는 ‘사회적 탄소 감축량’을 함께 공개했다.

2023년 ‘사회적 탄소 감축량’은 총 2만 7000톤(tCO₂e)이며, 이는 나무 약 20만 그루, 축구장 230개 규모의 숲이 흡수하는 탄소량과 같은 효과이다.

카카오는 서울대와 진행한 해당 연구를 통해 ‘플랫폼 기업의 사회적 감축량 산정 가이드라인’을 수립했으며, 누구나 참고할 수 있도록 카카오임팩트 홈페이지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카카오는 세계 환경의 날의 취지에 동참하기 위해 이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캠페인과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소개했다.

우선, 카카오메이커스는 매일유업과 함께 다 쓴 멸균팩을 새활용하는 ‘멸균팩 새가버치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지난해에는 1만 3000여 명이 참여해 83만 장의 멸균팩을 수거하고 이를 1만 4400개의 핸드타월로 새활용해 판매, 수익금은 결식 우려 아동에게 전액 기부됐다.

‘멸균팩 새가버치 프로젝트’는 오는 14일까지 카카오메이커스 홈페이지에서 참가 신청이 가능하며, 총 1만 5000명의 새활용 크루를 선정할 예정이다.

참여자는 최소 30개 이상의 멸균팩을 제출해야 하며, 참여자에게는 메이커스 쿠폰이 제공된다. 50개 이상 제출한 고객에게는 매일유업 어메이징 오트 제품이 추가로 증정될 예정이다.

또 ‘카카오같이가치’에서는 오는 30일까지 지구를 돕는 ‘그린행동 인증 챌린지’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용자들은 텀블러 사용, 페트병 라벨 제거, 휴대폰 다크모드 설정 등 세 가지 환경 보호 행동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인증사진을 올리면, 카카오가 1000원을 환경 모금함에 대신 기부한다.

이와 동시에 카카오는 환경 관련 프로젝트 10곳을 선정해 환경의 날 모금 캠페인을 열고, 응원, 공유, 댓글 참여 1건당 100원씩 기부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포털 사이트 ‘다음’에서는 이용자들에게 환경의 날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인터랙티브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다음에서 ‘환경의 날'이나 ‘세계 환경의 날’을 검색하면, 다양한 환경 보호 활동을 주제로 한 퍼즐 맞추기 이벤트 페이지가 제공된다. 퍼즐의 주제는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으로 구성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용자들과 함께 휴가지 환경 보호 방법 공유 캠페인과 천연기념물 수달 서식지인 여의샛강생태 활동을 위해 떠나는 ‘기브셔틀’을 운영한다.

또 멜론에서는 정기결제 이용자가 응원하는 아티스트를 지정하면, 아티스트의 이름으로 도심 속 숲을 만드는 ‘숲;트리밍’ 캠페인을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게임즈는 ‘프렌즈팝콘’ 등에서 이용자 참여형 기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 권대열 CA협의체 ESG 위원장은 “시민들의 일상과 맞닿아 있는 플랫폼 기업으로서 이용자들의 탄소 저감 활동을 촉진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앞으로도 계속 노력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hnr56@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