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2024.06.28(금)
성장기 부정교합, 조기 치과 치료 중요한 이유?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치아 관리는 평생 중요하지만, 특히 유치에서 영구치로 교체되는 시기인 6-7세에는 치아 발육 및 맹출 장애 등 다양한 문제로 인해 부정교합이 발생될 수 있어 더욱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부정교합은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위 아래 치아의 맞물림이 정상 위치를 벗어난 상태로, 단순히 외모적인 문제에 그치지 않고 충치, 치주질환, 저작기능 저하로 인한 소화 문제 등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심각한 부정교합은 얼굴 모양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자녀의 영구치가 자리잡는 시기에는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관리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건강한 치아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

만약 치과검진 후 부정교합이 발견되면 조기에 정밀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다행히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페이스마스크 등 영구치가 솟기 전 진행하는 예방교정을 통해 골격적 부조화를 방지함으로써 상악과 하악의 어긋남을 바로잡을 수 있다. 추가로 2차 치아교정을 진행하면 구강 구조의 부조화를 더욱 완벽하게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걱턱이나 돌출입처럼 교정이 쉽지 않은 골격적인 문제도 교정치료만으로 개선할 수 있다.

물론 교정치료의 시기가 늦어진 경우 성인이 된 이후에도 치아교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골격 문제로 인한 부정교합의 경우 단순한 교정치료가 아닌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하는 만큼 치료 시간과 비용에 대한 부담이 높을 수 있어 골격이 성장중인 청소년기에 부정교합 교정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탁선근 석촌 탁스치과 원장(교정과전문의)은 "여름방학을 맞아 아이들의 치아 교정을 고려하는 학부모들이 많다"며 "단순한 치열 문제라면 영구치가 모두 난 이후인 13세를 전후하여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지만 골격적 문제가 의심되는 상황이라면 6~8세 사이에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교정치료는 난이도가 높은 치과 치료 중 하나라 의료진의 경험과 노하우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있어 체계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치료 이후에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회귀성이 있는 만큼 사후관리도 꼼꼼히 체크해주는지 여부 등을 꼼꼼히 체크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sglee640@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