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의 위암 치료법은 진행이 많이 된 경우에도 림프절 절제술의 기술 발전으로 치료 성적이 좋아지고 있고 조기 위암의 경우에는 진행 정도에 따라 내시경으로 암 병변만 절제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복강경을 이용한 복강경적 위 절제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그 외에 면역요법, 화학요법, 유전자 요법에도 많은 발전이 있어 재발률을 줄이고 완치가 불가능한 환자에서도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있다.
초기엔 특별한 증상이 없으며 약간의 불편함을 느껴도 다른 일반적 위장 질환과 구분하기가 어려워서 암이 어느 정도 진행된 뒤에야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위암은 위에 생기는 암이다. 위암의 대부분은 위선암인데 위선암은 위점막의 선세포(샘세포)에서 발생한 것으로 현미경에서 관찰되는 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그 외에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림프종, 위의 신경 및 근육 조직에서 발생하는 간질성 종양, 육종(肉腫, 비상피성 조직에서 유래하는 악성 종양), 호르몬을 분비하는 신경내분비암 등이 있다.
소화기관 중 가장 넓은 부분으로 배의 윗부분 왼쪽 갈비뼈 아래에 위치한다. 위로는 식도, 아래로는 십이지장(샘창자)와 연결된다. 음식물을 임시로 저장하고 소장으로 천천히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 위액 분비를 통해 음식물을 분해하여 소장에서 영양분이 쉽게 흡수되도록 도와준다.
jbd@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