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2025.01.09(목)
[신형범의 千글자]...속터지는 띄어쓰기 규정
‘서울시장 애인 복지관’ ‘무지 개 같은 친구’ ‘울산 시체 육회’ 서울시장이 애인을 위해 복지관을 만들 리 없고 친구를 개라고 흉보거나 울산에선 시체를 육회로 먹는다는 뜻이 아닙니다. ‘서울시 장애인 복지관’ ‘무지개 같은 친구’ ‘울산시 체육회’인데 띄어쓰기를 잘못하는 바람에 생긴 오해입니다.

즐겨보는 TV 프로그램 《우리말 겨루기》에서도 가장 넘기 힘든 고비가 바로 띄어쓰기 문제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고 자부하는 한글인데 글로 쓸 때 막상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지키려면 왜 그렇게 어려운 걸까요?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고 400년 넘는 동안 띄어쓰기가 없었습니다. 바꿔 말하면 한글은 띄어쓰기를 안 해도 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띄어 쓰는 게 훨씬 더 편리하다는 것을 서양 선교사들이 먼저 알았고 띄어쓰기를 처음 적용했습니다.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제정되면서 띄어쓰기 규정도 생겼습니다. 그리고 1988년 맞춤법을 전면 개정하면서 띄어쓰기 규정은 더 세세하게 정비됩니다. 그런데 그 규정은 원칙에 ‘다만’이 붙으면서 예외가 인정되고 현실적인 문제나 관용적 사용으로 ‘허용’이 더해집니다. 그로 인해 알면 알수록 어려운 규칙이 만들어졌고 그 결과 지금 이렇게 고통받고 있는 겁니다.

‘서울시장애인복지관’이나 ‘울산시체육회’ 같은 걸 들이대며 불평하는 이들의 내면에는 띄어쓰기 규정의 복잡함에 대한 불만과 분노가 깔려 있습니다. ‘다만’으로 예외를 인정하고 ‘원칙’과 ‘허용’으로 이랬다저랬다 하는 것에 대한 항의도 포함돼 있습니다.

연구자들도 고민이 없는 건 아니지만 지금으로선 현재 규정이 최선이라는 입장입니다. 문제는 원칙주의자들과 규정이 궁벽한 곳에서 괴상한 문제를 찾아내 학생들을 괴롭히는 국어선생들입니다. 예를 들어 ‘집 한채’와 ‘집 한 채’를 시험문제로 냈다고 칩시다. 헷갈릴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자유롭고 편리한 의사소통이지 규정이나 시험점수가 아닙니다.

띄어쓰기 규정을 아무리 정교하게 만들어도 현재보다 더 쉽게 만드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그렇다면 의미단위로 띄어 쓰도록 하고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다면 굳이 규정을 들이대며 까다롭게 굴지 않는 것을 제안합니다. 한글은 적당히 띄어 써도 좋은 문자입니다. 규정은 적당한 위치에 놓아 두고 최소한의 원칙으로 규칙을 느슨하게 적용하자는 겁니다. ^^*

sglee640@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