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2025.02.05(수)

AI의 핵심 데이터센터 투자 가속화...빅테크뿐 아니라 '듣보잡' UAE의 부동산 재벌도 데이터센터 구축에 200억달러 투자

승인 2025-01-09 16:35:00

데이터센터 규모 확장, 하이퍼스케일러뿐 아니라 GPU CPU HBM 메모리, 서버 전력 산업도 수혜

[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AI의 핵심인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가 가속화 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장악하고 있는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빅테크 3사뿐 아니라 듣도 보지도 못한 아랍에미레이트(UAE)의 부동산 기업까지 투자에 뛰어들고 있다.

7일 (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부동산 개발 기업인 다막부동산의 후사인 사지와니 CEO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데이터 센터 건립에 최소 2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아랍에미리트연합 부동산 개발 업체 다막 부동산의 후사인 사지와니 CEO가 데이터센터 건립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사진=로이터통신
아랍에미리트연합 부동산 개발 업체 다막 부동산의 후사인 사지와니 CEO가 데이터센터 건립에 2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사진=로이터통신

◇ UAE의 부동산 재벌, 미국에 데이터 센터 건립에 200억달러 투자

미국은 지난 9월, AI 인프라 태스크포스를 설립하여 데이터 센터 확대를 위한 대출, 보조금, 세액 공제 방안도 마련 중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 내 여러 지역에 새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겠다며, 해당 투자액이 2배 이상 늘어날 가능성도 언급했다.

텍사스, 애리조나. 오클라호마. 루이지애나, 오하이오, 일리노이, 미시간, 인디애나 주 등에서 1차 데이터 센터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트럼프는 10억 달러 이상 투자에는 신속한 허가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 외국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데이터 센터 CAPEX 투자는 마진 감소 우려도 낳고 있지만, 대부분 감가상각비용을 늘리고 있으며, 수익성이 높아 데이터 센터 매출과 영업 마진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선순환 구조'를 보이고 있다는 게 빅테크 기업들의 주장이다.

 아마존(AWS)의 영업이익률 및 비용 추이. 자료=FactSet,KB증권
아마존(AWS)의 영업이익률 및 비용 추이. 자료=FactSet,KB증권

실제로 아마존(AWS)의 지난해 3분기 매출은 전년대비 19.1% 증가한 275억 달러 (전체의 17.3%)이며, AWS 영업이익은 104억 달러로 전년 대비 35억 달러나 늘어났다.

지난해부터 서버의 내용연수 기간을 연장해 분기 영업이익률을 200bp 상승시키기도 했다. MS의 클라우드 매출은 389억 달러 (전체의 36.7%)로 22% 증가했으며, 매출 총이익률은 71%를 기록 중이다. 구글 클라우드의 매출은 114억 달러 (전체의 12.0%)로 35% 증가, 영업이익률은 17%를 기록했다.

◇ 데이터센터, AI의 핵심...빅테크기업들 뿐 아니라 GPU 및 CPU, HBM 메모리, 서버, 전력 공급 등의 산업도 수혜 입어

이에 앞서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올해 AI 데이터 센터 구축을 위해 800억달러( 117조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브래드 스미스 MS 이사회 부사장은 블로그 포스트에 올린 글에서 투자금액의 절반 이상이 상반기중에 미국에 집중될 것이라고 밝혔다.

  데이터센터 주요 수혜 기업. 자료=KB증권
데이터센터 주요 수혜 기업. 자료=KB증권

KB증권 김세환 애널리스트는 "데이터센터 투자 가속화는 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러를 비롯, GPU 및 CPU, HBM 메모리, 서버, 전력 공급 등의 산업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데이터 센터 CAPEX 투자의 중심은 GPU와 CPU로 몰리고 있으며, 엔비디아와 AMD의 이익성장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아마존 MS 구글 등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3개 업체들의 AI 데이터 센터 구축 비용은 대부분 엔비디아의 AI용 GPU 칩과 델 테크놀로지의 인프라 서비스 장비 등에 투자된다고 분석했다.

이성구 비욘드포스트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