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용승 ESG국가정책연구소장 [우석대 제공]](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42209442703560d2326fc69c1451642.jpg&nmt=30)
ESG국가정책연구소는 전북특별자치도경제통상진흥원과 전주상공회의소의 지원을 받아 지난 4월 1일부터 20일까지 도내 기업 44개사를 대상으로 ESG 경영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중 77.3%는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는 중소기업이 77.3%, 소기업 및 스타트업이 18.2%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은 연 매출 50억 원 이하였으며, 자금 여력이 제한된 상황에서 ESG 대응이 어려운 구조로 평가됐다.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31.8%에 불과했다. 27.3%는 일부 요소만 도입하고 있었고, 18.2%는 정보 부족을 이유로 ‘ESG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ESG 전담 부서를 보유한 기업은 전체 44개사 중 단 2곳(4.5%)에 그쳤으며, 대부분은 기존 부서에서 겸임하거나 담당자가 없는 상태였다.
ISO 인증 보유율은 비교적 높았으나, ESG 통합 인증을 받은 기업은 11.4%에 불과해 인증 체계 측면에서도 확장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외부 기관으로부터 ESG 관련 지원을 받은 기업은 59.1%였으나, 여전히 많은 기업이 외부 자원의 활용에 소극적인 상황이었다.
기업들이 ESG 추진의 주요 장애 요인으로 꼽은 문제점은 △정보 부족(63.6%) △전문 인력 및 조직 부재(50%) △초기 투자 비용 부담(45.5%) 등이었다. 이에 따라 필요한 정책 과제로는 △ESG 교육 및 컨설팅 지원(61.4%) △세제 및 금융 지원(52.3%) △공시 및 인증 획득 지원(43.2%) 등이 제시됐다.
세부 항목별로는 탄소중립 목표를 명확히 설정한 기업은 18.2%에 불과했고, 59.1%는 관심은 있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사회적 책임 부문에서는 근로환경 개선(81.8%)과 지역사회 공헌(52.3%) 실천 의지는 높았으나, 협력사 ESG 지원 프로그램 운영 비율은 4.5%로 낮았다.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65.9%)과 윤리경영(47.7%)은 절반 이상이 실천하고 있었지만, 이사회 독립성 강화를 실현한 기업은 단 2곳(4.5%)에 그쳤다.
지용승 ESG국가정책연구소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도내 기업들이 ESG 경영을 실천하는 데 있어 정보 부족과 인력 부재 등 구조적인 한계에 직면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우리 연구소는 체계적인 연구와 실태조사는 물론, 교육·컨설팅·정책 제안 등을 통해 지역 기업들의 ESG 경영이 실질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선영 기자 글로벌대학팀 globalu@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