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총회는 아르코와 IFACCA가 공동주최하며, 영국예술위원회를 포함한 전 세계 80여 개국의 문화부 관계자, 예술위원회 및 문화예술기관 대표, 정책 전문가, 예술가, 연구자 4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문화예술세계총회는 예술위원회 및 문화기관 국제 연합(International Federation of Arts Councils and Culture Agencies, 사무총장 막달레나 모레노 무히카, 이하‘IFACCA’)의 대표 행사로, 2000년 캐나다 오타와에서 첫 회를 시작으로 회원국을 무대로 이어져 왔다. 10차를 맞이한 올해 총회는 K-컬처를 탄생시킨 한국 문화예술정책의 비전을 국제사회에 제시한 결과, 2023년 만장일치로 서울 개최가 확정되며 더욱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총회 주제는‘문화예술의 미래 구상’으로 인공지능(AI),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기후위기, 지역 공동체의 회복력 등 다중위기 시대에 직면한 전 지구적 도전 과제들에 대해 문화예술이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각적으로 조망한다.
지식체계와 주체성, 참여체계와 유대감, 디지털 체계와 기술이라는 세 가지 대주제를 중심으로 전 세계 65개국, 106명의 연사가 참여하는 36개 세션을 통해 문화예술의 미래 대응 방안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이번 총회 프로그램 개발에는 공동주최자인 아르코·IFACCA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문화예술분야를 대표하는 리더들로 구성된 국제프로그램자문위원회(International Programme Advisory Committee, IPAC)가 함께 참여하여 다양성을 확보하고, 전문성과 완성도를 한층 높였다.
오는 5월 27일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의 공식 개막만찬을 시작으로, 서울 아르코예술극장 등 대학로 일대에서 참여자 중심의 소통을 강조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펼쳐진다.
5월 28일에는 ‘한국 예술과 문화의 탄력적 미래상: 비판적 고찰’이라는 주제로 정세랑(소설가), 유상근(마리스트대학교 부교수), 안드레스 펠리페 솔라노(소설가, 한국문학번역아카데미 교수) 등이 참여하는 패널세션이 열려 한국 문화예술의 미래에 대해 폭넓게 이야기 나눌 예정이다.
이번 총회는 오는 9월 말,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주최의 문화정책 및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장관급 세계회의인 2025 몬디아컬트(Mondiacult 2025)에 앞서 개최되어, ‘문화’가 독립적인 글로벌 목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실질적 가교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5월 28일 열리는 패널세션에서는 ‘포스트-2030 유엔 의제에서의 독립적인 문화 목표 수립: 경로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논의가 진행되며, 이번 총회를 통해 생성된 담론이 향후 국제사회 아젠다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K-Culture에 대한 전 세계인의 관심이 최고조에 이른 요즘, 이번 총회를 통해 한국에 방문하는 참여자들의 기대도 높다. 이에 아르코는 한국의 전통적 멋과 현대문화를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부대프로그램을 함께 준비하고 있다.
총회를 공동주최하는 IFACCA 막달레나 모레노 무히카 사무총장은 “이번 총회는 열린 대화를 통해 공동의 지식과 역량이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문화예술의 미래를 위한 네트워크와 도구를 제공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현재 서울은 이러한 중요한 대화와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고 밝혔다.
이에 아르코 정병국 위원장은 “한국이 문화예술의 글로벌 선두주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받은 국제사회의 연대와 지지에 보답하기 위해, 한국의 문화적 토대를 바탕으로 각국의 전문가들과 함께 문화예술의 미래를 모색하고, 그 성과가 문화예술 현장에 환류되는 실질적이고 의미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한다”며 화답했다.
3일간 진행되는 오전 통합세션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생중계되며, 아르코와 IFACCA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