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수십년간 유지해온 ‘정기 공개채용’ 방식을 버리고 직무중심 위주의 ‘상시 공개채용’ 방식으로 개선한다.
13일 현대·기아자동차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회사의 미래를 이끌어갈 신입사원 채용방식을 직무중심 ‘상시 공개채용’ 방식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일반직·연구직 대졸신입사원과 인턴직 모두 포함된다.
이같은 변화에 대해 현대·기아자동차측은 “상하반기 각 1회씩 연 2회 고정된 시점에 채용하는 기존 방식으로는 제조업과 ICT기술이 융복합하는 미래 산업환경에 맞는 융합형 인재를 적기에 확보하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정기공채 방식은 향후 필요인력 규모를 사전 예상해 정해진 시점에 모든 부문의 신입사원을 일괄 채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제 신입사원이 배치될 시점에는 경영환경 변화로 현재 상황에 맞는 인력 확보가 어렵고 인력부족 등의 문제가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시 공개채용은 각 부문별로 인력이 필요한 시점에 연중 상시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지원자 입장에서도 관심 있는 직무를 중심으로 필요역량을 쌓으면서 연중 상시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 2회에 불과한 기존 정기공채 방식은 한번 취업에 성공하지 못하면 6개월을 기다리거나 졸업을 유예하는 등의 문제점들도 존재했다.
상시 공개채용 방식에서는 각 부문이 특정 직무(분야)의 인력이 필요한 시점에 채용공고에서부터 전형, 선발 등 모든 채용과정을 직접 진행한다.
현업부문이 직접 채용을 진행하기 때문에 기존 정기공채와 비교해 회사는 지원자가 입사 후 일하게 될 직무에 대한 세부정보와 필요한 역량을 채용공고를 통해 더욱 상세히 공개할 수 있다.
또한 각 부문은 채용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해당 부문만의 차별화된 채용방법과 전형과정을 수립해 채용을 진행하게 된다. 채용공고를 통해 공개한 필요 직무역량을 갖추었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인재를 선발한다.
현대·기아자동차측은 “이같은 변화를 통해 앞으로 지원자들은 희망 직무와 상관없는 불필요한 ‘스펙(SPEC)’을 쌓는 대신 본인이 하고 싶은 일과 분야를 정하고 그 분야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데 집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의 산업환경에서는 인문학과 자연과학, 공학 등 다양한 전공으로부터의 지식을 두루 갖춘 융합형 인재가 요구된다”며 “각 부문별로 필요로 하는 융합형 인재 형태는 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앞으로 부문별 채용공고를 통해 요구하는 역량을 상세하게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기아자동차는 인력채용 외에도 조직변경과 인력관리 등도 각 부문이 자율적으로 실행하고 의사결정을 하도록 해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력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기존 인사부문은 현업부문의 채용·인사업무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강한 실행력을 갖춘 민첩한(Agile) 조직체계 구축과 일하는 방식의 혁신적인 개선 등 전사 차원의 조직체계와 조직문화 변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현대·기아자동차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ICT기반의 융합기술과 새로운 서비스가 쏟아지고 있어 이러한 시장환경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가가 조직의 미래를 결정한다”면서 “기존 정기공채 방식으로는 적시에 적합한 인재확보에 한계가 있어 연중 상시공채로 전환했다”며 채용방식 변화 이유를 설명했다.
또한 “상시공채를 정착시켜 회사와 지원자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달 말부터 연구개발본부(R&D) ‘수소전기차’와 ‘상용차개발’ 분야를 시작으로 신입·경력사원을 상시 공개채용으로 선발하고 있다. 이외에도 향후 현대·기아자동차의 각 부문별 상시공채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