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치료체계 바꿔도 나아지지 않나 메르스 피해 규모에 근접 중 중중 및 위중 환자 총 52명…고령자 중심 급속 확산 감염 인지 시점 늦거나 병상 자원 부족 문제 지속돼 전문가 "조속히 진단·격리하는 것이 피해 줄이는 길"
<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들 중 중증환자와 위중환자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구지역 고령 확진자를 중심으로 심각한 상태인 환자가 빠르게 늘어나자 보건당국이 중증 및 위중 환자에 대해 의료자원을 집중하기로 결정했지만 아직까지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미 코로나19에 의한 사망자는 35명까지 불어나, 감염병 대유행 사례 중 역대 가장 피해규모가 컸던 지난 2015년 중증호흡기증후군(메르스) 당시 36명에 빠르게 근접하고 있다.
보건당국도 중증 환자를 살리기 위한 개선책 마련에 착수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진단 속도를 더욱 높여야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5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까지 확인된 국내 코로나19 사망자는 모두 35명으로, 이달 1일 18번째 사망자(82·대구) 발생부터 불과 나흘만에 18명이 숨졌다. 특히 4일 하루에는 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또 4일 자정 기준 확진자 중 중증 이상은 위중 상태 25명을 포함해 총 52명이다. 일부 고령자를 중심으로 확진자들의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이에 지난 2일부터 환자 상태에 따라 경중을 따져 경증 환자는 감염 차단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생활치료센터로 보내고 중증 환자에 대해 입원치료를 집중하는 '코로나19 대응지침(7판) 개정'을 운영 중이다.
하지만 지침 개정에 따른 극적인 변화는 아직까지 감지되지 않고 있다.
방대본에 따르면 대응지침이 개정된 직후인 지난 3일에는 6명이 목숨을 잃은 데 이어 4일에도 4명이 또 다시 숨졌다.
특히 대구지역에서 사망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이달 숨진 확진자 중 26번째 사망자(경북·85·여)를 제외하면 나머지 모두 대구에서 나왔다. 사망자 전체에서 대구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71.9%(23명)으로, 시간이 갈수록 점차 불어나고 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최근 대구지역 사망자들의 경우 대부분 70세 이상 고령으로, 증세 악화가 매우 급속하게 진행돼 대응이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의 확진 판정이 늦게 나오거나 아직도 의료 병상자원이 부족해서 처치가 늦어지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고령자의 경우 치매를 앓고 있거나 다양한 기저 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의료기관에서도 코로나19로 의심하기 어려웠을 수 있다는 게 보건당국의 판단이다. 방대본 관계자는 "누구의 잘못이라고 얘기할 수 없지만, 고령자 확진자의 경우 그런 특성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의료 병상자원의 부족 문제도 아직 현재 진행형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2270명의 확진자가 병실을 확보하지 못해 자택 등에서 입원 대기 중인 상태다. 당장 필요한 중증 환자에게 병상이 배정되지 못하면서 이미 5명이 입원 대기중 사망했다. 특히 지난 1일에는 집에서 대기 중이던 환자가 호흡곤란으로 병원에 이송된 후 숨지는 일도 있었다.
정부는 경증 환자를 퇴원 조치하고, 중증 환자에게 병상을 배정하기 위한 환자 중증도 분류가 진행 중이지만 아직은 '병목 현상'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3일부터 생활치료센터가 문을 열고 경증 환자를 이송하기 위한 환자 분류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빈 병실을 중증 환자에게 배정하는 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보건당국의 설명이다.
또 지역사회 감염 확산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진단검사 등 방역 차단 노력도 소홀히 할 수 없다 보니 의료 자원이 부족한 점도 중증 환자 대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문제로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중증·위중 환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인 만큼 당장 조속한 진단검사를 통해 환자를 발견하고 서둘러 격리하는 것만이 피해규모를 최소화 하는 유일한 방안이라고 보고 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중국 등의 연구에서도 5~7일이 지나면서 중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며 "2~3일 사이 대구·경북에서 확진된 사람 중에 중증 환자가 나타날 수도 있는 만큼 환자 상태에 대해선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엄 교수는 "지금으로서는 최선을 다해 빨리 진단하고, 빨리 격리해서 추가적인 발병자를 줄이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하며 "중증도 분류하는 과정에서 놓치거나,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데 자가격리 되지 않도록 경험 많은 의료 인력이 현장에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