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2025.01.11(토)
금융업 둔화 속 가계부채‧부동산PF 위험요인까지
[비욘드포스트 조동석 기자] 2024년 국내 금융업은 저성장 및 고금리 장기화로 업황이 둔화될 전망이다. 특히 코로나 전후 누증된 위험요인이 산재하고 있다. 자영업자 대출, 부동산PF, 해외대체투자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손실흡수능력 보완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 국내 금융산업은 자본규제 강화, 제판분리 활성화 정책, 생성형 AI 등 기술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회사들은 위험관리를 최우선으로 하되, 제도 및 기술 등 중장기 변화 요인에 대응한 경영혁신이 요구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류창원 연구위원의 ‘위험관리속 경영혁신을 모색하는 금융업’ 보고서에서다.

코로나 시기 대출 증가와 금리 상승으로 이자이익이 크게 증가하여 2021~22년 국내 금융지주사의 ROE는 지난 10년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는 코로나 금융지원 종료 및 누증된 대출의 건전성 부담 등으로 기업대출이 둔화되고 주택 시장 부진으로 가계대출 증가세도 미진할 전망이다.

은행업은 대출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잔존하는 고금리 효과로 순이익이 소폭 증가하겠으나, 비은행업권은 조달비용 부담이 지속되면서 수익성이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 자영업자 대출, 부동산 PF, 해외대체투자 등 위험요인

하향 추세였던 금융업 전반의 대출 연체율이 2023년 들어 상승한 가운데, 비은행업권 및 특히 저축은행 자영업자 대출의 건전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정책 지원과 리스크관리 강화로 부동산PF 규모는 보합세이나, 은행에 비해 물건의 위험이 큰 비은행권 부동산PF의 불확실성은 지속될 전망이다.

아울러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코로나 전후 비은행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해외대체투자가 135조원(2023년6월말)까지 급증했으나, 고금리와 공실률 증가로 리스크가 큰 상황이다.

■ 규제/정책/기술, 금융산업 구조적 변화 촉발

금융위기 이후 강화된 건전성 및 자본규제에 더해, SVB사태 등을 거치면서 규제가 강화되어 중장기적으로 고위험 여신을 줄이는 포트폴리오 조정이 필요하다.

정책 측면에서 보면 중개플랫폼이 활성화되면서 금융업의 제판분리가 촉진되는 한편, 은행의 비금융업 수행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어 영업 및 사업구조에 큰 변화가 촉발될 전망이다.

4차산업혁명 기술이 AI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특히 생성형AI는 생산성 향상 등 긍정적 측면과 함께 가짜 정보 등 부작용도 많아 대응이 필요하다.

보고서는 “저성장·고금리 장기화 국면에서 금융회사들은 위험관리와 함께 경영혁신이 필요하다”면서 “차주들의 상환역량을 점검하고, AI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 자동화 및 고객경험을 제고하는 한편 각종 중개플랫폼의 활용 여부 및 제휴 대상을 결정하고 적절한 협력 모델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