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김신 기자] 결혼정보회사 듀오(대표이사 박수경)에서 서울·수도권 25~44세 미혼남녀 2,000명(남녀 각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출산 인식 보고서’를 공개했다.
저출산 문제에 대한 심각성은 5점 만점에 남성 4.29점, 여성 3.88점으로 평가했다.
미혼 4명 중 3명(74.3%)이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했으며, 여성(67.1%) 보다 남성(81.4%)이 저출산 문제를 더 심각하게 여겼다.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저출산의 주원인은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남 31%, 여 28.5%)이었다. 이어 남성은 ‘미래에 대한 막막함·두려움’(22.7%)과 ‘실효성 없는 국가 출산 장려 정책’(14.2%)을, 여성은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28.5%)과 ‘미래에 대한 막막함·두려움’(22.1%)을 꼽았다. 특히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20.5%)을 택한 여성의 비율은 남성(11.6%)의 약 1.8배였다.
저출산 정책이 출산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51.1%)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보통은 40%였으며, 긍정적 평가는 9%에 불과했다.
미혼남녀가 꼽은 저출산에 도움되는 정책은 ‘주거 지원’(37.8%), ‘보육 지원’(21.5%), ‘경력단절 예방 지원’(15.7%), ‘출산 지원’(11.5%) 등의 순이었다.
‘주거 지원’과 ‘보육 지원’을 제외하고, 남성은 ‘출산 지원’(13.6%)과 ‘취업 지원’(8%) 및 ‘결혼 지원’(8%), 여성은 ‘경력단절 예방 지원’(24.7%)과 ‘출산 지원’(9.3%)을 선호하는 의견이 차례대로 많았다.
‘경력단절예방 지원’은 여성의 응답률이 24.7%로 남성(6.6%)의 약 4배 수준이었다.
결혼정보업체 듀오 관계자는 “출산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나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환경과 정책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며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육아 지원과 양육 환경 개선,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조사는 (주)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의 25세 이상 44세 이하 미혼남녀 2,000명(남녀 각 1,000명)을 대상으로 10월 31일부터 11월 13일까지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2.19%P다.
김신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