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새해 첫 달 11편의 신작을 선보인 ‘17회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신작(이하 창작산실)’이 이달 초 31개 선정작 중 신작 7편을 잇달아 무대에 올린다. 이 시기 개막 공연들은 노인 이야기, 인간과 자연 관계, 희망 잃은 청년, 근현대시 등 다양한 소재로 무대화한 작품들이 포진해 눈길을 끌고 있다.
우선 노인 이야기를 소재로 무대화한 창작뮤지컬 2편과 무용 1편이 연달아 막을 올린다. 창작뮤지컬 ‘이상한 나라의 춘자씨’(2월 6일~3월 30일 더줌아트센터)는 치매를 앓고 있는 70세 할머니 고춘자의 느슨해진 정신 줄에서 빠져나온 '영혼의 물고기'가 나타나며 시작되는 기상천외한 모험을 다룬 이야기다. 현실과 상상을 오가는 춘자와 사라진 춘자를 찾는 가족들의 이야기를 록, 트로트, 보사노바 등 다양한 음악 장르와 컬러풀한 시각적 이미지로 풀어냈다.
창작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2월 11~27일 국립극장 하늘극장 )은 다큐멘터리 영화 ‘칠곡 가시나들’과 에세이 도서 ‘오지게 재밌게 나이듦’을 원작으로 뮤지컬화 했다. '가난해서’, ‘여자라서’ 글을 배우지 못한 할머니들이 문해학교에 다니며 설렘으로 가득 찬 새로운 세상을 만난 모습을 따뜻하게 그려냈다.
무용 ‘로망(Roman) 노망(老妄)’(2월 21~23일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은 실종자 찾는 '안전 재난 문자'가 계기가 되어, 스스로가 꿈꾸는 노년의 로망과 늙어가며 나타나는 노망이 얽히는 지점에서 출발하는 작품이다. 노년의 그림자 속에서 잊고 있던 로망의 빛을 되찾으려는 작은 시도를 춤과 움직임으로 표현한다. 전문 무용수뿐 아니라 일반 노인들도 무대에 출연한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춤과 움직임으로 그려낸 무용 2편이 연달아 무대에 오른다. 무용 ‘GRAVITY’(2월 7~9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는 인간이 중력과 상호작용하며 만들어내는 균형, 저항, 추락, 상승의 움직임을 주요 모티브로, 중력을 단순한 물리적 개념이 아닌 감정적, 철학적 차원으로 확장해 해석한 작품이다. 중력에 반응하는 몸의 미세한 움직임을 극대화하며, ‘움직임의 시작과 끝’을 재구성해 실험적으로 접근했다.
무용 ‘피안의 여행자들’(2월 13~16일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은 오늘날의 ‘땅’이 가지는 의미와 정체성의 경계를 되묻는다. ‘피안’은 서로의 이야기와 경험이 엮여 탄생한 열린 정체성의 공간으로, 낯선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자연과 과거, 미래를 잇는 유기적 네트워크를 발견하는 여정을 그린다. 서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의 전통 음악, 무용가들과의 협업으로 색다른 리듬, 움직임을 선보인다. 무대 위에 객석을 원형으로 설치해 객석과 무대의 경계를 허물고 관객과 함께 ‘피안’의 공간을 완성한다.
희망 잃은 이 시대 청년들을 위로하는 연극 작품도 선보인다. 연극 ‘저수지의 인어’(2월 7~16일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는 허무와 외로움, 실체 없는 불안으로 희망을 잃은 이 시대 젊은이들의 모습을 보여주며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이를 위해 무기력한 현실 공간, 온기 없는 온라인 공간, 신비의 생명체가 사는 가상의 공간 등 세 개의 공간을 치밀하게 연결한다. ‘이유 있는 삶’을 찾아 나선 한 청년을 통해 젊은이들의 불안함을 위로하는 작품이다.
근현대시를 전통음악으로 재해석한 전통예술 작품도 공연된다. 전통예술 '남도 선소리 시를 읊다 : 님이 침묵한 까닭?'(부제 : 중中머리에 대하여)(2월 7~9일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은 “사는 게 뭐지?”라는 근본적 물음에서 출발해,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비롯한 일곱 편의 근현대 시를 남도 특유의 선율과 장단인 육자배기와 흥타령으로 풀어낸다. 젊은 소리의 주역 김준수, 유태평양, 정보권, 이성현, 김수인, 서의철, 정윤형 등 7명의 소리꾼과 7명의 악사가 전통 선율 위에 현대적 감성을 더해 무대를 꾸민다.
창작산실은 제작부터 유통까지 단계별 지원을 통해 연극, 창작뮤지컬, 무용, 음악, 창작오페라, 전통예술 등 기초 공연예술 분야의 우수 신작을 발굴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대표적인 지원사업이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