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시크 기업가치, 최저 10억달러에서 최대 1550억달러까지 다양...블룸버그, 스타트업 창업자 및 AI 전문가 설문조사
[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량원평 CEO의 자산이 엔비디아의 젠승 황 CEO를 능가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분석했다.
딥시크의 량원평 CEO 자산이 엔비디아의 젠슨 황CEO 자산을 능가할 수도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사진=AP통신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스타트업 창업자와 AI 전문가 등 7명에게 설문한 결과 2023년 출범한 딥시크의 기업가치는 약 10억달러(약 1조4500억원)에서 1550억달러(약 217조8500억원)까지 다양하게 평가됐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딥시크의 기업 가치가 200조원에 이른다면 량원펑은 엔비디아 창업자 젠슨황을 능가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캐나다 통신사 스윗프리 텔레콤의 창업자인 차나키야 람데브는 딥시크의 가치를 오픈AI(3000억달러)의 절반 수준인 1500억달러로 평가했다.
반면 벤처캐피탈 회사인 글래스윙 벤처스의 설립자 루디나 세세리는 경쟁사인 오픈AI와 앤트로픽 등을 기준으로 딥시크 기업 가치를 최소 10억달러로 평가했다.
량 CEO는 딥 시크의 지분 84%를 보유하고 있어 자산이 1260억달러(약 182조6800억원)에 달할 수 있다.
량원펑은 딥시크의 모회사인 ‘항저우 심층탐색(딥시크) 인공지능 기초기술연구 유한회사’의 지분 1%를 보유하고, 이와 동시에 합작회사와 지주회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84%의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AI 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의 재산 평가액 1140억달러(165조2800억원)를 훌쩍 뛰어넘는다.
미국과 중국의 주요 AI 스타트업 기업가치 비교. 자료=블룸버그통신
아울러 단숨에 중국 최고 갑부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수준이다.
평가 기준이 된 동종업계 스타트업들의 기업 가치를 살펴보면 오픈AI 직원 출신이 설립하고 구글과 아마존의 투자를 받은 앤트로픽의 가치는 600억달러(약 87조원), 구글과 메타 연구원들이 설립한 미스트랄의 가치는 60억달러(약 8조7000억원)였다.
중국 AI기업인 즈푸는 지난해 투자 유치 후 기업 가치가 약 300억위안(약 5조9500억원)으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