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이성구 전문위원]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전 행정부가 시행해 온 반도체 보조금을 재협상할 계획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 전 행정부가 시행해온 반도체 보조금을 재협상할 계획이라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사진=로이터통신
이 통신은 백악관이 기존에 지급하기로 했던 일부 보조금 집행이 유예될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전해 이미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업체들이 적지 않은 피해를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백악관 소식통을 인용, 백악관은 현재 바이든 행정부에서 확정한 반도체법을 평가해 일부 거래를 재협상할 계획이다.
백악관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39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법 및 과학법 산업 보조금 조항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백악관이 보조금 계약을 얼마만큼 변경할 계획인지, 이미 계약이 완료된 합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어떤 조치가 이미 취해졌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고 통신은 밝혔다.
이와 관련, 대만의 글로벌웨이퍼사의 리펑 대변인은 "미국 반도체법(CHIPS ACT) 운영사무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과 정책에 일치하지 않는 조건이 있는 지 여부를 조사중이라고 알려왔다"고 전했다.
글로벌웨이퍼는 미국 텍사스와 미주리주 공장 건설로 미국 정부로부터 4억600만달러의 보조금을 받을 예정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사진=월스트리트저널
트럼프 행정부의 산업·무역 정책을 총괄할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지난달 말 美상원 인사청문회에서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기로 미국 정부와 확정한 계약을 이행(honor)하겠냐는 질문에 "말할 수 없다. 내가 읽지 않은 무엇을 이행할 수 없다"고 답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짓기 위해 370억 달러 이상의 최종 투자 규모를 결정하고, 작년 12월 20일 미국 상무부와 47억4000500만 달러(약 6조8700억원)의 직접 보조금을 지급하는 계약을 최종 체결했다.
경계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사장)이 2023년 1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 파운드리 공장 건축 현장을 방문, 빌 그라벨 윌리엄슨 카운티장에게 '삼성 하이웨이' 도로 표지판을 받고 있다.사진=경계현 사장 인스타그램 캡처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한 SK하이닉스도 지난달 19일 미 상무부로부터 최대 4억5800만 달러의 직접 보조금 지급이 결정됐다.
이성구 비욘드포스트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